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소식 뉴스 국내외동향
  • 등록일2021-09-15
  • 작성자관리자
  • 조회수2475
게시판 상세보기
CJ제일제당과 해양생명소재 공동연구를 통한 산업화 박차
카테고리 카테고리국내동향
대륙 대륙 국가 국가
태그 태그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생명자원관  #해양생명자원  #양해각서  #CJ제일제당 

▷ 해수부 산하 국립해양생물자원관, CJ제일제당과 해양생명소재 활용 위한 양해각서 체결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9월 13일(월) 국립해양생물자원관과 CJ제일제당이 해양생명소재의 공동 연구개발과 산업화를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CJ제일제당은 대규모의 바이오 인프라를 갖추고 있는 국내 굴지의 기업으로, 식품과 사료·식품첨가제 등 다양한 분야의 제품을 개발, 판매하고 있으며, 최근 들어 바이오산업에 더욱 폭넓은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국가 해양생명자원을 체계적으로 확보·관리·활용하기 위해 2015년에 설립된 기관으로, 해양미세조류 등에서 항산화, 항균 등 유용기능이 있는 해양생명소재를 발굴하고 기업 등에게 제공하는 해양바이오뱅크를 2018년부터 운영해오고 있다. 해양바이오뱅크를 통해 현재까지 총 7,626건의 해양생명소재가 등록되었으며, 642건의 소재를 분양하는 등 해양생명자원의 산업화에 기여하고 있다.


이에, 국립해양생물자원관과 CJ제일제당은 해양바이오뱅크를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산업화하기 위한 ‘해양바이오뱅크 활성화 방안*’의 일환으로 이번 양해각서를 체결하게 되었다.

  * 소재 발굴 및 정보고도화, 기업 상용화 연구지원, 해양바이오뱅크 운영 활성화 등(2021. 3.)


양 기관은 이번 양해각서 체결을 통해 ▲해양생분해원료, 미세조류 등 해양바이오 소재 연구개발을 위한 해양생명자원 및 관련 정보의 활용 ▲협동연구 및 기술정보 교류 ▲해양바이오 전문인력 양성 및 인적 교류 ▲해양바이오 소재 발굴, 특성 개발 및 사업화를 위한 장비와 시설 공동 활용 등을 위해 상호 협력해 나가기로 하였다.


임영훈 해양수산부 해양수산생명자원과장은 “해양바이오뱅크에는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의약품 개발에 활용될 수 있는 유망한 해양생명소재가 많이 있다.”라며, “이번 양해각서 체결을 통해 해양바이오뱅크에 있는 유망 해양생명소재의 산업화가 더욱 촉진될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바이오 관련 기업과 공동연구를 추진하는 등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해양수산부는 CJ제일제당 외에도 국내 바이오기업과 릴레이 간담회*를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간담회를 통해 기업이 겪는 애로사항을 듣고 공동연구사업을 발굴하는 등 해양바이오 산업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 CJ제일제당 등 10개 기업과 간담회 실시(‘21. 상반기), 하반기 5개 기업과 간담회 실시예정

첨부파일 첨부파일 pdf 다운 1 : 210913(16시) cj제일제당과 해양생명소재 공동연구를 통한 산업화 박차(해양수산생명자원과).pdf [501014 byte]




배너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