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소식
뉴스
국내외동향
국내외동향
- 등록일2025-09-30
- 작성자김윤정
- 조회수119
DSI 다자체제는 어떻게 생물다양성 보전에 기여하도록 진화할 수 있을것인가(Nature biotechnology, 2025.9.18) | |||
카테고리 | 카테고리국외동향 | ||
---|---|---|---|
대륙 | 대륙 | 국가 | 국가 |
태그 | 태그 | ||
DSI 다자체제는 어떻게 생물다양성 보전에 기여하도록 진화할 수 있을것인가(Nature biotechnology, 2025.9.18) From frameworks to finance: how sharing benefits from the use of digital sequence information can evolve to contribute to biodiversity conservation
1) DSI의 범위에 따른 문제 - DSI 다자체제는 공공DB의 DSI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데 공공DB와 사설DB 모두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내부적 추적 및 분류와 규정준수를 위해 상당한 행정적 복잡성이 야기 될 것으로 예상됨 2) 이익공유율 문제 - 현재 매출의 1%, 이익의 0.1%로 되어 있는 이익공유율, 대상 산업분야, 범위는 후속 회의에서 다시 검토될 예정이며, 이것이 광범위한 합의를 도출하기 위한 수단이었던 만큼, 기여율이 미치는 경쟁력 및 매출에 부과된 요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연구가 16/2 결정문에 따라 요청됨 - COP16전 수행된 연구들은 모든 유전자원와 모든 DSI를 포함한 전체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공공 DSI 가치와 해당범위에 대한 적정한 요율이 반영되지 못했음을 유의해야 함 3) 법적 확실성의 문제 - COP16 결정문은 "국가적 접근 및 이익공유 조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라고 하고 있으나 현재 39개의 국가가 DSI 관련 국내 규정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국가의 국내법이 DSI MLM과 일치되게 입법되기 전까지 이중지불의 불확실성이 남아 있음 - 현재 상태로는 칼리 기금의 납부 인증서가 있다고 해도 이런 중복의무가 발생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함
|
|||
첨부파일 | 첨부파일 |
이전글 | 국가관할권 이원지역 해양생물다양성 협정(BBNJ), ‘26년 1월 발효 확정 | 2025-09-30 | 다음글 | COP16/2 결정에 대한 대안적 방식의 제시: 자연정보에 대한 "제한된 개방성" 모델(southeviews no.291, 2025.8.8) | 2025-09-3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