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 Newletter
CBD News
녹색 경제를 통한 우리가 바라는 미래, Rio+20 개막
유엔 지속가능발전 정상회의(Rio+20)는 1992년 첫 리우 지구정상회의 이후 10년마다 개최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환경회의다. 지구가 현재 처한 상황을 진지하게 고민하고 우리가 원하는 미래의 지구를 건설하는 방안을 찾기 위해 열리고 있으며 1992년 회의에서 생물다양성협약(CBD), 기후 변화협약(UNFCCC), 사막화방지협약(UNCCD)의 3대 협약이 체결되었다.
이번 회의는 6월 20일부터 22일까지 브라질에서 개최되며, 전 세계 190여 개국 지도자들을 비롯해 유엔과 같은 국제 기구, 시민사회, 산업계, 학계 등을 포함한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한다. 우리나라는 이명박 대통령을 수석대표로 유영숙 환경부장관, 김성환 외교통상부장관, 박재완 기획재정부장관 등 정부대표와 산업계, NGO 등이 참석한다.
한편 6월 13일부터 22일까지는 부대행사로 홍보관이 설치되어 3대 협약 간 시너지를 높이고, 관련된 이슈들을 강조하는 이벤트를 개최하고 있다. 홍보관은 브라질 정부와 우리나라, 영국, 독일, 노르웨이 등에서 지원하였으며, 각 프로그램은 www.riopavilion.org/programme/ 에서 확인가능하다. 우리나라 홍보관은 ‘모두를 위한 녹색성장’(Green Growth for All)을 주제로 그린카드,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4대강 사업 등을 집중 홍보하고 있다. 관람객들의 참여를 위해 페트병을 재활용한 보자기로 패션가방을 만드는 이벤트와 폐현수막과 헌옷 등을 활용해 패션단추를 만드는 체험행사를 개최해 관심을 끌고 있다.
나고야 의정서와 관련한 해외대응사례
 ㅣ 상피유사세포에서 자란 조류독감 바이러스(금색부분)
* 조류 독감(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분쟁
세계에서 조류독감 감염자가 가장 많았던 인도네시아의 정부는 2007년 인체에 감염된 조류 독감 바이러스의 국외반출 금지법을 제정하고, 세계보건기구(WHO)에 바이러스 제공을 거부하였다.
이는 조류독감 바이러스의 제공이 선진국 기업에게는 백신을 개발 하여 이익을 내는 수단이 되고 선진국 국민들은 이 백신으로 조류 독감을 예방할 수 있지만, 정작 인도네시아 국민들은 비싼 백신 가격 으로 인 접종할 가능성이 낮아 자국의 혜택이 거의 없었기 때문이었다.
2010년 10월 나고야 의정서가 채택된 이후 인도네시아는 조류독감 바이러스의 신약개발에 저렴하게 백신을 공급하고 추후 선진국과 백신판매 등에 따른 이익을 공유할 수 있다면 세계보건기구(WHO)에 인체 병원균(pathogene)을 제공할 수도 있다는 입장을 표명하였다.
NIBR News
생물자원 관리 선진국 수준으로… '국가 생물종 목록집' 발간
세계 생물다양성의 날을 맞아 5월 22일 14시 코엑스에서 환경부 주최, 국립생물자원관 주관으로 ‘2012 생물다양성의 날 기념식’을 개최한다.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은 우리나라의 자생생물 중 척추동물, 관속식물, 선태식물의 종목록을 종합 정리한 ‘국가 생물종 목록집’ 3권을 발간했다. 이번에 발간된 종목록집은 2008년부터 자생생물의 실체를 파악하고 종합·정리하는 국가 생물종 목록 구축 사업의 결과물로 그중 전문가 검토가 끝난 관속식물 4,338종, 선태류 903종, 척추동물 1,884종 등 총 7,125종을 수록하고 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1996년 발간된 목록집에 수록된 28,462종의 생물종과 그 이후 연구·발굴된 생물종을 학문적으로 재검토해 종합·정리했다. 그동안 변화가 있었던 분류체계를 반영하고, 현재 사용되는 생물종의 명칭(학명과 국명), 발표된 문헌, 원기재명과 동종이명 등을 수록해 생물종의 학명에 대한 기준과 그 간의 변경 내용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하였다.
국립생물자원관은 ‘국가 생물종 목록집’이 생물자원 연구를 위한 기준과 생물산업의 소재정보원이자 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 정보로써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며 연차적으로 나머지 생물종에 대한 종목록집도 조속히 발간할 예정이다.
* 분류체계 : |
여러 생물종을 종류별로 분류하여 그룹으로 묶는 체계로서 종(Species)- 속(Genus)-과(Family)-목(Order)-강(Calss)-문(Phylum)-계(Kimgdom)를 말한다. |
* 학 명 : |
전 세계에 공통적으로 통용되는 생물종의 분류학적 이름으로 속과 종 2단계의 명칭(2단어)으로 이루어져 있다. |
* 원기재명 : |
생물종을 발굴하여 논문에 발표한 처음 붙여진 학명 |
* 동종이명 : |
같은 생물종에 붙여진 여러 학명 또는 속의 변경 등으로 현재 사용되지 않는 옛날 학명 |
제1차 ABS 포럼 개최 결과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생물자원 관련 정부 부처의 정보 교류 및 산·학·연 등에게 체계적, 전문적 및 실질적으로 대응할 국제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책 포럼을 6월 14일에 개최하였다. 이번 정책 포럼에는 국립생물 자원관 관계자와 국제법, 국제통상, 특허, 학계, 기업 등 관련 전문가 약 100명이 참석하였으며, 나고야의정서 관련 법·제도 정비와 바이오기업에 필요한 해외 생물자원 확보를 주제로 토론이 진행되었다. 포럼의 논의 내용은 「(가칭)유전자원 접근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정과 제도 개선 및 정책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며, 오는 9월과 11월에도 제2차와 제3차 포럼을 개최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