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
[124호] 인도네시아, 외국인들의 생물해적행위에 대한 강도 높은 규제 진행 중 작성일 : 2017-03-30 |
|||||||||||
ABS Newsletterㅣ 제124호 2017. 3. 30 ㅣ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Benefit-Sharing
<2017.3.30 현재>
3월 이슈 :
인도네시아, 외국인들의 생물해적행위에 대한 강도 높은 규제진행 중![]() 인도네시아 정부는 외국 연구자들이 여행객으로 위장하여 자국 유전자원을 밀반출하는 등의 행위를 생물해적행위로 간주하고 강도 높게 대처하고 있다. 이는 ‘나고야의정서에 명시된 사전통고승인이나 공평한 이익공유 없이 자국의 유전자원을 무단으로 가져가 개발하는 외국인들의 생물해적행위’를 우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도네시아의 연구기술고등교육부는 지난 2월 외국인들의 이러한 생물해적행위를 예방하기 위한 규정을 발표하고, 파푸아 섬이나 말루쿠 섬 등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지역에서의 연구를 권장하지 않음을 밝혔다. 이 지역에서 외국인의 연구를 전면 금지하는 것은 아니지만 연구 허가 조건은 더욱 까다로워지게 되었다. 인도네시아 정부 측은 “내국인 연구자들에게 우선적으로 연구 기회를 제공하여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지역에서 신종 동·식물을 발견하도록 조치할 것“ 이라고 밝혔다. 인도네시아 환경산림부 조사관은 “일부 여행객들이 생태여행 성격으로 산림 보호지역의 생물자원을 밀수하다 현장 적발된 사례가 있다”고 밝혔다. 지난 2월에는 프랑스 연구자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나비이며 CITES 부속서 II에 명시된 희귀종 ‘골리앗 버드윙’(Goliath birdwing)을 파푸아 섬에서 채집하여 밀반출하려 한 혐의를 받고 있다. 아직 프랑스인의 밀반출 혐의가 입증된 것은 아니지만, 인도네시아 정부는 프랑스인의 이번 표본 채집 행위 자체를 생물해적행위로 간주하고 있다. 또한 조사관은 “2012년에도 영국의 청소년들이 자국의 산림보호지역에서 허가 없이 표본을 채집하다 적발되었다”고 밝혔다. 참조 자료: http://asiapacificreport.nz/2017/03/23/indonesia-steps-up-fight-against-foreign-research-biopiracy/ 크리스티아나 파슈카 파머 CBD 사무총장 취임크리스티아나 파슈카 파머(Cristina pască Palmer)가 3월 20일 유엔 생물다양성협약 사무총장으로서 임기를 시작했다. 1968년 루마니아 출신의 파머 총장은 환경 및 지속가능개발 정책 분야에서 다양한 실무 경험을 가지고 있다. 2010년 ‘EU집행위 기후행동총국’의 국제관계 및 서발칸 국가에 대한 정책분석관으로 활동한 파머 총장은 그 후 EU 집행위 국제협력개발총국 기후변화·환경·천연자원과 과장을 역임하면서 기후변화, 산림, 사막화 관련 EU의 전반적인 국제 협력 분야를 총괄했다. 주요 업적으로는 12억 달러 규모의 EU 생물다양성 대표 프로그램인‘Biodiversity for Life Initiative (B4Life)’를 설계한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국제적 경험을 인정받아 2015년에는 루마니아 환경·물·산림부 장관으로 취임하여 제21차, 제22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2016년 유엔생물다양성총회 등 다양한 국제 환경회의의 정부 대표로서 활약했다. 파머 총장이 임명된 2017년은 당사국들의 ‘생물다양성전략계획 2011-2020’ 달성 및 ‘유엔생물다양성 10년’을 4년 앞둔 시기여서 더욱 큰 의미를 지닌다. 또한 파머 총장은 2018년에 25주년을 맞이한 제14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COP14)의 이집트 개최를 준비하고 있으며, 2020년까지 추진되는 이행사항을 관리 감독하게 된다. 참조 자료: https://www.cbd.int/doc/press/2017/pr-2017-03-20-ES-en.pdf [CBD 공지문] 나고야의정서 이행에 대한 잠정국가보고서 제출 및 ABSCH에 정보 게재 요청![]() CBD 사무국은 국가들의 나고야의정서 이행에 대한 잠정국가보고서 제출 및 ABSCH에 관련 정보 게재를 요청하고 있다.
참조 자료: https://www.cbd.int/doc/notifications/2017/ntf-2017-017-absch-en.pdf 발행 : 오경희 과장 / 작성 : 안능호 연구사, 유진희 에디터, 송송이 전문위원 / 감수 : 오경희 과장, 오현경 연구관 |
|||||||||||
이미지 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