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2012년 민간인출입통제선* 이북지역 생태계 조사’ 결과, 멸종위기종 30종의 서식을 확인했다. 이 조사는 매년 실시되는 DMZ* 일원 생태계조사의 일환으로 민통선 이북지역의 생태계 조사 결과를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지정·관리와 접경지역의 자연환경 보전, 한반도 핵심생태축 등의 복원 계획 수립에 활용하기 위해 실시됐다.
조사 결과, 이 일대에는 식물 798종과 동물 1,355종 등 총 2,153종의 야생 동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림 생태계를 비롯해 하천 습지와 산지 습지가 분포하여 생태계 다양성도 높은 지역인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사향노루, 산양, 수달, 흰꼬리수리, 검독수리 등 멸종위기야생생물Ⅰ급 5종과 담비, 하늘다람쥐, 참매, 날개하늘나리 등 Ⅱ급 25종을 포함한 총 30종의 멸종위기야생생물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사향노루는 DMZ와 민통선 일대에만 극소수 잔존하고 있어 민통선 지역은 반드시 보전돼야 할 멸종위기종의 마지막 보루로 평가된다.
조사지역 중 양구 백석산은 DMZ, 화천 백암산과 함께 유일하게 사향노루의 서식이 확인됐으며, 양구 수입천과 고성 남강 등에는 칠성장어, 가는돌고기, 돌상어, 한둑중개, 가시고기, 열목어, 버들가지 등 멸종위기 어류 7종과 천연기념물인 어름치 등이 서식하고 있었다. 또한, 국내 자생종이자 고유종인 이끼도롱뇽이 고성 향로봉에서 발견되어 향로봉이 이끼도롱뇽의 최고 북방 한계선임을 최초로 확인했고, 고성 대암산에서는 국내에서 두 번째로 벌매의 번식이 조사됐다.
환경부 관계자는 “이번 조사로 민통선 이북지역이 생태계의 보고이자 멸종위기종의 천국임을 다시 한 번 확인했다.”며 “이번 조사 결과를 생태축 복원이나 ‘DMZ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지정 추진 등 DMZ 일원 관리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DMZ :
- 비무장지개(Demilitarized Zone), 군사분계선을 중심으로 남북으로 각각 2km 내외로 정한 구간
- * 민간인출입통제선(민통선) :
- 남방한계선을 경계로 2~10km에 해당하는 구간
- * DMZ 일원 :
- DMZ와 민통선 두 지역을 통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