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
[197호] 윤리적생물무역연합, 생물다양성 바로미터 2020 발간 작성일 : 2020-12-11 |
||||||||||||||||||||||||||||||||||||||||||||||||||||||||||||||||||||||||||||||||||||||||||||||||||||||||||||||||||||||||||
![]() www.abs.go.kr 제197호 2020. 12. 11![]()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Benefit-Sharing
유전자원의 접근 및 이익공유
<2020. 12. 11 현재>
12월 이슈
윤리적생물무역연합, 생물다양성 바로미터 2020 발간전세계 기업 및 소비자의 생물다양성 인식도 동향을 분석하는 윤리적생물무역연합의 ‘생물다양성 바로미터*’ 2020년 판이 공개됐다. 윤리적생물무역연합은 2009년부터 11년 동안 16개국 74,000명의 생물다양성 인식도 조사를 수행해왔다.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대상 16개국의 생물다양성 인식도는 평균 79%로 나타났다. 인식도가 가장 높은 국가는 프랑스(96%)이며, 2위는 중국(95%) 및 베트남(95%), 3위는 페루(94%)로 나타났다. 한국의 생물다양성 인식도는 72%로 집계되었다.
※ 출처: UEBT Biodiversity Barometer 2020 (http://www.biodiversitybarometer.org) “생물다양성 보호에 힘쓰는 기업 제품을 살 의향이 있는지”라는 질문에는 평균 62%가 “그렇다”고 답했다. 구매의사가 높은 소비자들로 구성된 국가는 베트남(87%), 중국(85%), 브라질(80%) 순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은 59%, 일본 51%, 미국 51%, 독일 61%로 집계되었다. 생물다양성 기업 브랜드 순위를 보면, 프랑스 이브로쉐(Yves Rocher), 독일 니베아(Nivea), 영국 더바디샵(The Body Shop), 미국 버츠비(Burt’s Bee), 브라질 나추라(Natura), 스위스 웰레다(Weleda)가 가장 많이 득표했다. 기업의 생물다양성 인식도의 경우, 미용분야는 2009년 13%에서 2020년 49%로 크게 상승했다. 식료품 분야의 경우 2012년 53%에서 2020년 80%로 증가세를 보였다. 이번 보고서는 지난 11년간의 생물다양성 인식도 조사 결과에 대해 “생물다양성에 대한 기업과 소비자의 인식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하면서 “소비자의 생물다양성 인식도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나고야의정서의 이행 의무도 더불어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기여하는 접근 및 이익공유(ABS) 사례집 소개독일 환경자연보전원자력안전부(BMU)*, 자연보전청(BfN)**이 후원하고 윤리적생물무역연합(UEBT), 생물다양성네트워크연구소, Geo Media가 함께 조사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기여하는 접근 및 이익공유(ABS) 사례집***」 이11월 공개됐다.
독일 정부는 접근 및 이익공유(ABS)가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에 미치는 기여도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 사업을 실시했으며 총 20건의 ABS 사례를 모아 ▲대상물질, ▲과학연구/상업적목적, ▲제공국 정보, ▲제공국 ABS 법률, ▲이용국 정보, ▲이익공유 유형, ▲SDGs 이행 항목 등으로 정리하였다. <보고서에 수록된 ABS 사례 목록 >
본 사례집은 나고야의정서를 비준하지 않았거나, 비준했지만 ABS 법률이 없는 제공국들과의 ABS 협력사업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또한 일찍이 나고야의정서를 비준하고 관련 국내법도 제정한 국가들과의 ABS 연구사업들도 다루고 있어, 국내 생물산업·연구 관계자의 ABS 이행에 있어 참고자료로써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생물다양성협약 사무국, “생물다양성, One Health, 코로나19” 특별 온라인회의 개최2020년 12월 15일부터 16일까지 이틀간 “생물다양성, One Health, 코로나19 대응”을 주제로 한 특별 온라인회의가 개최될 예정이다. 이번 온라인 회의는 2021년으로 연기된 제24차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및 제3차 이행부속기구의 논의 준비를 돕고, 당사국 및 이해관계자들이 온라인회의 형식에 익숙해지도록 하기 위해 사무국이 준비한 특별 회의이다. 8월 24일, 생물다양성협약 사무국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올해 대규모 정부간회의를 개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판단, 제24차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3차 이행부속기구 회의를 2021년 1사분기로 연기한다”고 발표했지만 사전논의를 위한 특별 온라인 회의 개최를 예정한 바 있다. 이번 특별 온라인회의는 몬트리올 시간으로 12월 15일, 16일 오전 7시부터 9시까지 개최될 예정이다. 회의는 유엔 6개 언어로 통역이 진행되며 공식 결정문이나 권고문은 도출되지 않는다. 또한, 온라인회의 보안과 온라인회의의 기술상 한계로 마이크를 이용하는 발언자는 당사국 및 비당사국 2명, 유엔기구 및 정부간기구 2명, 그 외 1명으로 제한된다. `20~`21년 CBD-나고야의정서 관련 회의 일정
|
||||||||||||||||||||||||||||||||||||||||||||||||||||||||||||||||||||||||||||||||||||||||||||||||||||||||||||||||||||||||||
이미지 파일 |
---|